전 KBS 홍사훈 기자가 전하는 "한·중·일" 석유전쟁 기사를 보고 매우 심각성을 느꼈고,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의
10배( 한화 약 6000조 )에 달하는 원유와 천연가스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제7광구의 중요성을 사람들에게
공유하기 위하여 이 글을 작성해 봅니다.
1. 제7광구
제7광구는 우리나라 제주도 남쪽과 일본의 서쪽에 위치한 대륙붕으로 1960년대에 UN과 국제기구에서 그 지역을
조사해 보니 석유와 천연가스가 엄청나게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보고서를 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70년대에 그 지역이 아시아의 또 다른 페르시안 걸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제7광구의 영유권을 선포를 해 버렸습니다.
하지만, 이 지역은 한국과 일본, 중국이 경쟁하고 있는 자원 탐사의 중심지로, 그 중심에 자리한 것이 제7광구입니다.



초기 일본과의 갈등, 탐사 기술부족… 등에 의하여 제7광구를 일본과 공동 개발하기로 1974년도에 한·일간 협정을
체결하고, 이 협정은 1978년에 발효되어 2028년까지 유효하며, 한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탐사를 시도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경제성 판단(혼자 독차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인해 공동탐사는 중단되어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고,
2028년에는 일본에게 이 중요한 제7광구를 뺏길 위기까지 와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이미 제7광구 인접한 해안에 다수의 원유 시추시설이 운영되고 있어서 한국, 일본, 중국 등 3개 국가가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2. 제7광구 _ 한•일 대륙붕 공동개발협정
한•일 대륙붕 공동 개발협정은 1974년 1월 30일에 한. 일간에 협정이 체결되었고, 1978년 6월 22일 발효되어, 한국과 일본이 반드시 공동으로 제7광구를 개발하기로 합의 한 협정입니다.
하지만 이 협정은 일본이 혼자 독차지하기 위해한 전략으로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일본의 일방적인 탐사 중단 중입니다.
우리나라 주변해 주요 광구(출처:한국석유공사 홈페이지) 한·일 공동개발구역(출처:시사상식사전)


이 협정은 50년간 유효한데, 1978년도에 발효되어 2028년까지 공동으로 탐사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일본의
공동 탐사 중단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고, 2028년에는 협정이 만료되어 일본에게 72억 톤이나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석유를 뺏길 위기에 있습니다.
"제7광구 _ 한. 일 공동개발협정" 바로가기(출처:위키백과사전)
3. 제7광구 _ 사우디와 비교한 매장량

제7광구의 석유 및 천연가스매장량은 사우디와 비교할만한 수준으로 2004년 우드로 윌슨 연구소에 따르면 천연가스는
사우디 보다 10배 많은 175조 ~ 210조 규모이며, 석유 매장량은 1000억 배럴 이상으로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4. 제7광구 _ 한. 일 공동개발협정 종료 후 대응책
a. 제7광구를 일본과 중국에 뺏길 수 있습니다.
b. 한.일 공동개발협정이 종료되는 2025년 6월 이후에 일본은 우리나라에 제7광구 공동개발협정을 종료하고
우리나라를 배제한 채 중국과 공동개발협정을 맺을 수도 있습니다.
c. 정부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일 정상 회담 시 필수 안건으로 등록기재 해야 할 것입니다.
d. 일본에 제7광구 공동개발의 의미를 자원 개발뿐만 아니라 안보협력, 지역의 안정 등의 의미를 부여하여
일본과 계속적인 협상을 했다면 일본이 지금보다는 더 적극적으로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문화비/문화생활비 소득공제가 누락 시 소명방법 알아보기 (1) | 2025.01.18 |
---|---|
연말정산 _ 자녀가 쓴 체크카드 사용금액 소득공제 알아보기 (0) | 2025.01.18 |
커피 추출 과정 및 장단점 (0) | 2024.02.07 |
커피의 종류 (0) | 2024.02.06 |
풍부한 향의 탄생!! 커피 로스팅 (0) | 2024.02.03 |